2012년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은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핀란드는 요트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육상, 배드민턴, 카누, 사이클, 승마, 체조, 유도, 사격, 수영, 태권도, 테니스, 역도,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이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 - 1906년 중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 1906년 중간 올림픽에 핀란드는 육상, 레슬링, 체조, 사격, 조정 종목에 24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육상과 레슬링에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 - 1908년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 1908년 하계 올림픽에 핀란드 선수단은 레슬링, 육상 등 6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으며, 핀란드 선수 최초로 베르네르 베크만이 레슬링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 중국 선수단은 396명의 선수들이 출전하여 금메달 38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22개로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다이빙, 체조, 수영, 배드민턴, 역도, 탁구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은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역도에서 획득한 금메달이 도핑으로 박탈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2012년 하계 패럴림픽 2012년 하계 패럴림픽은 2012년 8월 29일부터 9월 9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164개국에서 역대 가장 많은 선수들이 참가하여 20개의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중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은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
NOC
FIN
NOC 명칭
핀란드 올림픽 위원회
대회
하계 올림픽
연도
2012년
개최지
런던
참가 선수
56명
참가 종목
14개
개막식 기수
한나마리아 세팰래
폐막식 기수
안티 루스카넨
순위
60위
금메달
0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
공식 웹사이트
핀란드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 (핀란드어/스웨덴어)
첫 참가 연도
1908년
관련 항목
1906년 중간 올림픽
2. 메달 집계
핀란드는 이번 대회에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2012년 하계 올림픽 핀란드 선수단은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다양한 종목에서 경기를 펼쳤다. 핀란드는 육상, 배드민턴, 카누, 사이클, 승마, 체조, 유도, 요트, 사격, 수영, 태권도, 테니스, 역도, 레슬링 등 여러 종목에 선수들을 출전시켰다.
특히 요트 종목에서는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투울리 페테야는 여자 RS:X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실야 카네르바, 실야 레흐티넨, 미카엘라 불프는 여자 엘리엇 6m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육상 종목에서는 안티 루스카넨이 남자 창던지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다른 종목들에서도 핀란드 선수들은 최선을 다해 경기에 임했으며, 일부 종목에서는 결선에 진출하거나 좋은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예를 들어, 카누 종목에서 예니 미코넨은 여자 K-1 200m에서 9위, 안네 리칼라는 여자 K-1 500m에서 8위를 기록했다. 사격 종목에서는 카이 얀손이 남자 10m 공기 권총에서 8위를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핀란드 선수단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다양한 종목에 걸쳐 경쟁하며 자국의 스포츠 역량을 보여주었다.
3. 1. 육상
핀란드 선수단은 다음 육상 종목에서 참가 기준을 충족했다. (각 종목 최대 3명의 선수가 'A' 기준, 1명이 'B' 기준)[2][3]
'''참고''' – 트랙 종목의 순위는 해당 선수의 예선 기록 내에서만 매겨진다.
'''Q''' = 다음 라운드 진출
'''q''' = 가장 빠른 기록으로 진출 ''또는'' 필드 종목에서 예선 통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순위로 진출
'''NR''' = 자국 기록
N/A = 해당 종목에 적용되지 않는 라운드
Bye = 해당 라운드에 참가할 필요가 없는 선수
남자 창던지기 메달 수여식, 안티 루스카넨 2위
;남자
;트랙 & 도로 종목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요나탄 오스트란
200m
20.73
5
진출 실패
안티 켐파스
50km 경보
N/A
4:01:50
41
유카 케스키사로
3000m 장애물
8:29.13
4 Q
N/A
colspan="2"|
야르코 키누넨
50km 경보
N/A
3:46:25
15
니클라스 산델스
1500m
3:42.67
11
진출 실패
유시 우트리아이넨
마라톤
N/A
2:26:25
69
유시 우트리아이넨 남자 마라톤
;필드 종목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거리
순위
거리
순위
예레 베르기우스
장대높이뛰기
—
진출 실패
아리 만니오
창던지기
81.99
8 q
78.60
11
테로 피트캐매키
83.01
3 Q
82.80
5
안티 루스카넨
81.74
11 q
84.12
다비드 쇠데르베리
해머던지기
71.76
26
진출 실패
오스쿠 토로
높이뛰기
2.21
=16
진출 실패
;여자
;트랙 & 도로 종목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산드라 에릭손
3000m 장애물
9:50.71
8
진출 실패
안네 할키바하
20km 경보
N/A
1:38:49
54
레나 푸오티니에미
마라톤
N/A
2:42:01
87
레나 푸오티니에미 여자 마라톤
;필드 종목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거리
순위
거리
순위
민나 니카넨
장대높이뛰기
4.25
=26
진출 실패
산니 우트리아이넨
창던지기
—
진출 실패
3. 2. 배드민턴
패 8–21, 21–14, 11–21
2
아누 니에미넨
여자 단식
승 21–12, 21–18
패 11–21, 14–21
2
3. 3. 카누
핀란드는 2012년 하계 올림픽 카누 스프린트 종목에 두 명의 선수가 출전하였다. 예니 미코넨은 여자 K-1 200m 종목에 출전하여 예선에서 42.656초로 3위를 기록하여 준결선에 진출하였고, 준결선에서는 41.859초로 4위를 기록하여 결선 B에 진출, 최종 9위를 기록했다. 안네 리칼라는 여자 K-1 500m 종목에 출전하여 예선에서 1분 52.641초로 1위를 기록하며 준결선에 진출했고, 준결선에서는 1분 51.852초로 3위를 기록하여 결선 A에 진출, 최종 8위를 기록했다.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예니 미코넨
여자 K-1 200m
42.656
3
41.859
4
44.643
9
안네 리칼라
여자 K-1 500m
1:52.641
1
1:51.852
3
1:54.333
8
3. 4. 사이클
피아 순스테트는 여자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 11위를 차지했다.
선수
종목
시간
순위
유시 베이카넨
남자 도로 경기
5:46:37
65
피아 순스테트
여자 도로 경기
3:35:56
20
여자 개인 도로 독주
40:01.69
11
3. 5. 승마
선수
말
종목
그랑프리
그랑프리 스페셜
그랑프리 프리스타일
최종
점수
순위
점수
순위
기술
예술
점수
순위
엠마 카네르바
시니 스피릿
개인전
70.395
29 Q
71.889
22
진출 실패
미카엘라 린드
마스 구아포
개인전
70.729
26 Q
69.016
30
진출 실패
3. 6. 체조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기구
합계
순위
기구
합계
순위
마루
도마
평행봉
평균대
마루
도마
평행봉
평균대
안니카 우르비코
개인 종합
13.200
12.416
10.933
12.266
48.815
55
진출 실패
3. 7. 유도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발테리 요키넨
남자 −60 kg
부전승
승 0100–0000
패 0000–0010
진출 실패
야나 순드베리
여자 −52 kg
없음
패 0001–0110
진출 실패
요한나 일리넨
여자 −63 kg
부전승
부전승
패 0000–1000
진출 실패
3. 8. 요트
니클라스 린드그렌
470
22
19
22
17
12
15
26
21
21
18
EL
167
21
; 여자
선수
종목
경기
총점
최종 순위
1
2
3
4
5
6
7
8
9
10
M*
투울리 페테야
RS:X
8
7
3
4
4
4
8
2
5
1
4
46
사리 물탈라
레이저 레디얼
4
6
15
4
19
21
3
2
16
5
20
94
7
; 매치 레이싱
선수
종목
라운드 로빈
순위
토너먼트
순위
8강
4강
결승
실야 카네르바 실야 레흐티넨 미카엘라 불프
엘리엇 6m
패
승
승
패
패
패
승
승
패
승
승
5 8강
승 (3–1)
패 (1–2)
승 (3–1)
; 오픈
선수
종목
경기
총점
최종 순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M*
칼레 바스크 라우리 레흐티넨
49er
19
18
4
11
6
8
2
2
1
11
3
11
19
11
2
20
129
7
'''M''' = 메달 레이스; EL = 탈락 – 메달 레이스 진출 실패;
3. 9. 사격
핀란드는 사격 종목에서 4개의 출전권을 획득했다.[4]
;남자
선수
종목
예선 점수
예선 순위
결선 점수
결선 순위
카이 얀손
50m 권총
552
26
진출 실패
10m 공기 권총
583
7
96.1
8
;여자
선수
종목
예선 점수
예선 순위
결선 점수
결선 순위
사투 매켈래-누멜라
트랩
70
7
진출 실패
미라 수호넨
10m 공기 권총
377
32
진출 실패
마르요 일리-키카
50m 소총 3자세
578
23
진출 실패
10m 공기 소총
365
16
진출 실패
3. 10. 수영
핀란드 수영 선수들은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다음 종목에 대한 올림픽 출전 자격 기준을 통과했다.[5][6]
;남자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마티아스 코스키
200m 자유형
1:49.84
31
진출 실패
400m 자유형
3:54.96
22
colspan="2" |
진출 실패
1500m 자유형
15:34.80
27
colspan="2" |
진출 실패
아리-페카 리우코넨
50m 자유형
22.57
25
진출 실패
마티 매트손
200m 평영
2:11.81 NR
17
진출 실패
;여자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옌나 라우카넨
100m 평영
1:09.92
34
진출 실패
200m 평영
2:31.23
32
진출 실패
노라 라우카넨
400m 개인 혼영
4:53.54
33
colspan="2" |
진출 실패
에밀리아 피카라이넨
100m 접영
59.55
29
진출 실패
200m 접영
2:13.81
27
진출 실패
200m 개인 혼영
2:17.66
33
진출 실패
한나-마리아 세팔라
50m 자유형
25.55
26
진출 실패
100m 자유형
54.93
18
진출 실패
200m 자유형
2:04.21
33
진출 실패
3. 11. 태권도
수비 미코넨은 여자 −57kg 경기에 출전하였다.[3] 16강에서 Bineta Diedhiou|비네타 디에디우프랑스어 (세네갈)를 상대로 9-6으로 승리하였으나,[3] 8강에서 侯玉琢|후유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에게 2-7로 패하였다.[3] 이후 패자부활전에서 다이애나 로페스 (미국)를 9-4로 이겼지만,[3] 동메달 결정전에서 쩡리청 (중화 타이베이)에게 2-14로 패하며 최종 5위를 기록하였다.[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